IBS 연구진이 비행기, 나비, 피라미드 등 다양한 형태로 접을 수 있는 QLED를 개발했다./IBS

종이 접듯 자유롭게 형태를 만들 수 있는 디스플레이 소자가 국내에서 개발됐다. 연구가 발전하면 폴더블폰이나 롤러블폰처럼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를 상용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의 김대형 부연구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과 현택환 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석좌교수) 공동 연구진은 “종이접기 하듯 자유자재로 접을 수 있는 3차원 양자점발광다이오드(QLED) 개발에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전자공학’에 실렸다.

종이처럼 자유자재로 접을 수 있는 3차원 폴더블 QLED./IBS

QLED는 스스로 빛을 내는 반도체 입자인 양자점을 이용한다. 기존 액정디스플레이(LCD)와 달리 화면 뒤에서 빛을 쏴주는 광원(백라이트)이 필요 없기 때문에 훨씬 얇은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다. IBS 나노입자 연구단 역시 2015년 머리카락 굵기의 약 30분의 1정도인 초박형 QLED를 개발해 웨어러블(wearable·착용형) 디스플레이를 만든 바 있다.

연구진은 이번에 한 발 더 나아가 초박형 QLED를 원하는 형태로 자유자재로 접을 수 있게 만들었다. 먼저 레이저로 QLED 표면에 증착된 에폭시 박막을 부분적으로 깎아냈다. 그러면 주변보다 두께가 얇아져 외부에서 힘이 가해졌을 때 쉽게 변형이 일어난다.

종이접기가 가능한 QLED 원리. 레이저로 기판 위에 증착한 에폭시 박막의 일부를 녹요 두께를 얇게 한다. 이 부분이 종이접기의 접는 선이 돼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다./Nature Electronics

종이접기로 치면 ‘접는 선’을 만드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나비, 비행기, 피라미드 등 복잡한 구조를 가진 3차원 폴더블 QLED를 제작했다. 500번 이상 접어도 모든 발광면이 안정적으로 구동했다.

최근 전 세계 IT 업체들이 스마트폰은 직사각형의 ‘바(Bar)’ 형태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있다. 이른바 ‘폼팩터(기기 형태)’ 전쟁이다. 접거나 돌돌 말아 휴대하다가, 원하는 때에 마치 태블릿PC나 소형 TV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김대형 부연구단장은 “이번 연구에서 제작한 64개의 픽셀로 이뤄진 디스플레이를 넘어 향후에는 더 복잡한 폼팩터를 가진 QLED 디스플레이 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택환 단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전자 종이나 신문, 태블릿 등 사용자 맞춤형 소형 디스플레이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종이접기가 가능한 QLED로 비행기와 나비, 피라미드를 만드는 과정. 레이저를 쏘아 두께를 얇게 한 부분이 접는 선이 된다./Nature Electron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