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Nanoparticle Synthesis
Biomedical Applications
Energy & Catalyst Applications
Soft Electronics Applications
People
Taeghwan Hyeon
Current Team
Alumni
Publications
Media
News
Video
Photo Gallery
Notice
Group News
Seminar
Contact
Research
Nanoparticle Synthesis
Biomedical Applications
Energy & Catalyst Applications
Soft Electronics Applications
People
Taeghwan Hyeon
Current Team
Alumni
Publications
Media
News
Video
Photo Gallery
Notice
Group News
Seminar
Contact
Media
Media
Research
People
Publications
Media
Photo Gallery
Notice
Contact
News
News
Video
News
Total 55건
1 페이지
55
박남규·이상엽·전남중·현택환 등 75명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연구자
클래리베이트, 2024년도 영향력 있는 연구자 리스트 발표한국 연구자, 지난해 대비 10명 증가1위는 미국이지만 꾸준히 점유율 하락추세반면 중국 2018년 대비 2배 증가클래리베이..
작성일
2024-11-29
54
숭실대,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 초청 '탄소중립 도우미 나노기술' 특강
특강 중인 서울대 현택환 석좌교수숭실대(장범식 총장)는 지난 13일 오후 6시 형남공학관 115호에서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를 초청해 숭실글로벌리더스포럼 특강을 개최했다.숭실대는 ..
작성일
2024-11-19
53
‘쭉’ 잡아당겨도 화질은 그대로…스트레처블 퀀텀닷 디스플레이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진이 개발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작동 모습.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내면서도 최대 1.5배 늘려도 화질 저하가 없다./기..
작성일
2024-04-25
52
현택환·최원용 교수, 미국 공학한림원 국제회원 선임
2024.02.08. 현택환·최원용 교수, 미국 공학한림원 국제회원 선임 왼쪽부터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석좌교수, 최원용 한국에너지공대 ..
작성일
2024-02-13
51
태양빛만 이용해 폐플라스틱에서 수소 얻는다
2024.02.06. 태양빛만 이용해 폐플라스틱에서 수소 얻는다폐플라스틱에서 수소를 얻을 수 있는 새활용 신소재 개발한 연구진. 왼쪽부터 현택환 기초과학연구원(I..
작성일
2024-02-13
50
공학한림원 현택환 서울대 교수, 스웨덴왕립공학한림원 회원 선출
2023.12.10. 공학한림원 현택환 서울대 교수, 스웨덴왕립공학한림원 회원 선출 서울대 석좌교수인 현택환 한국공학한림원 회원이 최근 스웨덴..
작성일
2023-12-12
49
현택환 “노벨상 받는 연구, 정부 지원에서 비롯”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과학동아 제공 지난 10월 4일 2023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가 발표되자 한국..
작성일
2023-11-07
48
“나노 크기 양자점으로, 자연 그대로의 색 재현 가능”
올해도 ‘10월의 노벨상 탄식’은 여느 해처럼 지나갔다. 10월 초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물리·화학상이 연이어 발표됐다. 앞서 9월부터 ‘올해는..
작성일
2023-11-02
47
'나노 + 줄기세포' 기술 결합 류머티즘 완치 가능성 확인
'나노 + 줄기세포' 기술 결합 류머티즘 완치 가능성 확인 현택환연구팀 치료후보물질 개발 국내 연구팀이 류머티즘성..
작성일
2023-11-02
46
[2023.06.21] 서울대 공대 공동 연구팀 금속 나노클러스터 합성 일반 원리 규명
서울대 공대 공동 연구팀 금속 나노클러스터 합성 일반 원리 규명 화학생물공학부 박정원 교수-현택환 석좌교수..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스'에..
작성일
2023-06-23
45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제2회 한·이스라엘한림원 공동심포지엄' 개최
제2회 한·이스라엘한림원 공동심포지엄When Science Meets Technology일시: 5월22일(월)~23일(화), 10:00장소: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주..
작성일
2023-05-22
44
바다에서 수소 생산… IBS, 탄소배출 확 줄인 '光촉매 플랫폼' 개발
바다에서 수소 생산… IBS, 탄소배출 확 줄인 '光촉매 플랫폼' 개발 기초과학硏 나노입자연구단 세계적 학..
작성일
2023-05-11
43
[2023.04.20] 과학의 날 특별대담 - 기술패권 시대 생존법 … 한국만의 '필살기' 여러 개 있다
기술패권 시대 생존법 … 한국만의 '필살기' 여러 개 있다 ◆ 과학의 날 특별대담 ◆ 강민호 기자 ..
작성일
2023-04-25
42
"천재 아닌데 독특했다" 노벨상 1순위 오른 서울대 전설의 男
"천재 아닌데 독특했다" 노벨상 1순위 오른 서울대 전설의 男 0.1%를 만나다 현택환 서울대 석좌 교수는 세계 학계가 꼽는..
작성일
2023-01-18
41
현택환 교수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 비밀 풀었다
27개 원자로 구성, 나노클러스터 결정 구조 규명 반도체 클러스터의 원자 수준에서의 구조. 세계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 즉, 반도체 클러스터의 원자 수준에서의 구조..
작성일
2022-09-28
40
나노기술로 심부전증 치료, 과산화수소 대량생산 길 터
"나노기술로 심부전증 치료, 과산화수소 대량생산 길 터" ■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현택환 IBS 나노입자연구단장저비용·고효율의 생산기..
작성일
2022-09-06
39
서울대 현택환 석좌교수, 2022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 기조 강연
[2022.06.29] 2022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
작성일
2022-09-06
38
현택환과 제자들이 쌓아올린 '나노거탑'…그 뒤엔 눈물의 참치초밥이
지난 3월 24일 서울대 공과대학에서 줌으로 연구 미팅을 진행하던 현택환 교수에게 전화가 걸려왔다. 모르는 번호였다. "저 ○○○입니다."&nb..
작성일
2022-06-10
37
한국공학한림원 대상에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
한국공학한림원은 제26회 한국공학한림원 대상 수상자로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를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한국공학한림원은 현 교수가 세계 최초로 금속염을 서서히 ..
작성일
2022-04-05
36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 공동 연구팀 물과 빛만으로 이산화탄소를 탄화수소로 전환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 공동 연구팀물과 빛만으로 이산화탄소를 탄화수소로 전환IBS·DGIST·KAIST 공동 연구팀유용한 에너지 전환 광촉매 개발 ..
작성일
2022-01-04
35
'세계 상위 1% 연구자'에 한국 과학자 47명
'세계 상위 1% 연구자'에 한국 과학자 47명 클래리베이트 명단 발표서울대 현택환·성대 박남규 등학계 저명과학자들 이름 올려 &nbs..
작성일
2021-11-22
34
10억분의 1m의 세계…기술의 한계를 넘어선다
The JoongAng 2021.11.15. 10억분의 1m의 세계…기술의 한계를 넘어선다 나노기술의 미래 “상상해 보십시오.&nbs..
작성일
2021-11-17
33
디스플레이로 종이접기 한다...자유자재로 접히는 QLED 국내 개발
종이 접듯 자유롭게 형태를 만들 수 있는 디스플레이 소자가 국내에서 개발됐다. 연구가 발전하면 폴더블폰이나 롤러블폰처럼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를 상용화하는 데 ..
작성일
2021-09-30
32
전기전도성·두께·신축성 세계 최고 수준 나노박막 전극 국내 개발
전기전도성·두께·신축성 세계 최고 수준 나노박막 전극 국내 개발 IBS 나노입자연구단…은 나노선 혼합액 물에 떨어뜨려 최고 성능 구현 연구팀이 개발한 나..
작성일
2021-08-31
31
[2021.08.26] [기고] 故 최종현 회장이 꿈꾼 지식의 선순환
아무리 바빠도 거절하지 않는 강연이 있다. 과학에 관심 있는 학생들과 후학들에게 하는 강연이다. 이달 초 우리나라에서 가장 똑똑한 과학고 학생 100여 ..
작성일
2021-08-31
30
'이산화탄소→유용 원료'로 바꾸는 세상서 최소형 반도체 개발
IBS의 26개 원자로 구성된 반도체… 1년이 넘게 안정적, 발광효율 72배↑반도체 뭉친 거대구조로 세계 처음 이산화탄소 전환 촉매 활용연구결과..
작성일
2021-01-27
29
IBS 과학자 7명, 세계 상위 1% 연구자(HCR)로 선정
국내 HCR 41명 발표…로드니 루오프·현택환 단장 7년 연속 올해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를 펼친 연구자 명단에 기초과학연구원(IBS, ..
작성일
2020-12-17
28
어떻게 세계적인 연구를 할까? | 현택환 2020 노벨 화학상 후보군 거명,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석좌교수
작성일
2020-12-17
27
“과학엔 ‘축적의 시간’ 필요… 노벨상 타는 것도 마찬가지”
■ 올 노벨 화학상 후보 올랐던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 선배 학자들도 아직 못받아내가 받을 순서는 아니었다 美서 귀국뒤 가장 잘한 선택은나노 연구로 진로..
작성일
2020-10-24
26
현택환 서울대 교수, 올해 ‘노벨화학상 유력 후보’에 올라
피인용 논문으로 본 올해 노벨상 물망 24명클래리베이트 발표…19명은 미국 학자현 교수 등 3인, 나노결정 합성 공동 기여자로 &nb..
작성일
2020-10-11
25
인터뷰 - 오롯이 연구에 몰입한 삶
1997년 처음 서울대학교에 부임했을 때만해도 미지의 영역이었던 나노 소재 분야.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찾는 일을 즐거워하는 사람’이라고 과학자를 정의한 현택환 석좌교수는&nbs..
작성일
2020-09-15
24
현택환, 김빛내리, 황철성 교수 등 8명 서울대 석좌교수
서울대가 31일 2020년 신규 석좌교수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과학, 공학, 인문, 사회 분..
작성일
2020-09-02
23
'배터리 수명 줄이는 열발생 근본원인 규명'…차세대 배터리 개발기여
휴대전화 등의 베터리에서 생기는 열 발생 원인이 국내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기초과학연구원(IBS)은 나노입자연구단 현택환 단장(서울대 석좌교수)과 성영은 부연구단장(서울대 교수)&..
작성일
2020-08-07
22
방사선 피폭 때 생기는 활성산소 제거 나노입자 개발
IBS·서울대 "투여량 최소한으로 줄여 독성 낮춰“ 방사선 피폭 때 생기는 활성산소 제거 나노입자 그림방사선 피폭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나노입자가 개발됐..
작성일
2020-07-07
21
간질 발작 나노센서로 실시간 감지한다
IBS 나노입자연구단 개발발병원인 규명·진단 활용 칼륨 농도 변화 측정 나노센서 구조.살아 있는 동물의 뇌에서 뇌전증(간질)으로 인한 발작을 실시간으로..
작성일
2020-02-12
20
학생이 실험하다 떠올린 아이디어가 배터리·태양전지 혁신할 나노소재 만들었다
IBS 나노입자 연구단과 UC버클리가 이끄는 국제공동연구진은 다결정 소재의 결함을 제어해 소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작성일
2020-01-20
19
반도체 세정하는 과산화수소 생산 효율 8배 높일 촉매 개발
반도체 세척 등 산업계에 두루 쓰이는 과산화수소의 생산 효율을 대폭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 연구단의 현택환 단장(서울대 ..
작성일
2020-01-15
18
[2019.10.05]“노벨상 근접 국내 과학자 17人”…서울대·카이스트 등 연구진 포함
최근 10년간 노벨과학상 수상자의 연구성과에 근접한 것으로 평가된 한국 과학자 17명이 선정됐다. 노벨 수상자처럼 논문이 널리 읽히고 연구결과가 많이 인용된 수준에 따라 선정됐는데..
작성일
2019-10-07
17
[2018.11.27] 국내 과학자 53명 ‘세계 1% 연구자’…IBS 9명 가장 많아
국내 연구자 53명이 미국의 글로벌 학술정보회사인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전 톰슨로이터 지적재산과학사업부)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에 이름을 올렸다. 이 중 ..
작성일
2018-11-29
16
[2018.09.21] "논문 피인용수 노벨상 수상 수준 도달 한국 과학자 6명“
[2018.09.21] "논문 피인용수 노벨상 수상 수준 도달 한국 과학자 6명“ 물리 김필립·정상욱·이영희, 화학 김광수·현택환, 생리의학 이서구연구재단, 10..
작성일
2018-10-04
15
[2018.08.14.] '8배 늘어나도 전도성 유지' 생체친화적 다기능 고무소재 개발
IBS 현택환·김대형 교수 "미래형 웨어러블·신체삽입형 의료 디바이스 응용 가능" 국내 연구진이 탄성이 뛰어난 고분자와 금-은 나노선을 결합, 체내 이식용 또는 웨어러블 ..
작성일
2018-08-20
14
[2017 12.28] 세계 상위 1% 연구자 로드니 루오프, 장석복, 현택환 단장 선정
국제 학술정보서비스 기업인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옛 톰슨 로이터)의 ‘2017년 연구성과 세계 상위 1% 연구자’(HCR; Highly Cited Researcher, 논문 피인..
작성일
2017-12-28
13
[2017.07.19] 조영제와 지혈제를 한번에…IBS연구진 나노접착제 개발
[2017.07.19] 조영제와 지혈제를 한번에…IBS연구진 나노접착제 개발국내 연구진이 조영제와 지혈제로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접착제를 개발했다.현택환 기초과학연구원(IBS)&..
작성일
2017-07-24
12
[2017.07.18] 활성산소 잡는 나노입자가 패혈증 치료한다
[2017.07.18] 활성산소 잡는 나노입자가 패혈증 치료한다- IBS 현택환 단장·서울대병원 이승훈 교수 공동연구팀 성과 패혈증은 인체가 ..
작성일
2017-07-20
11
[2016.07.14] IBS Director HYEON Taeghwan Honored with Korea Best Scientist Award
- Award given in recognition of his extraordinary achievements in designing and synthesizing nanopar..
작성일
2016-07-16
10
[2016.05.11] IBS Director HYEON Taeg-Hwan became the first Korean winner of the IUVSTA* Prize
The International Union for Vacuum Science, Technique and Applications (IUVSTA) selected Professor H..
작성일
2016-05-14
9
[2015.05.14] 머리카락 40분의 1 두께 피부부착형 디스플레이 개발
기초과학연구원 연구진 "해상도는 최신스마트폰 4배"SF영화 속 '손목 피부 위 디스플레이' 현실화 전망 국내 연구진이 나노미터 크기의 양자점(Quantum dot) LED..
작성일
2015-05-17
8
[2014.08.21] 현택환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 연구팀, 미역순나무 추출 물질로 간암 치료제 시스템 개발
간암세포에 ‘나노 미사일’ 보내 격파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이 간암세포만 찾아가 파괴하는 ‘나노 미사일’을 개발해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 ‘ACS 나노’ 5일자 온라인판..
작성일
2014-08-23
7
[2014.04.07] 암세포 찾아가 터지는 '나노 수류탄' 개발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를 찾아가 마치 수류탄처럼 터져 진단은 물론 치료까지 할 수 있는 나노물질을 개발했습니다.암세포가 정상 세포와 달리 산성을 띄고 있다는 점을 이용한 것인데 모든..
작성일
2014-04-08
6
[2014.03.31] 파스처럼 붙이는… 파킨슨病 진단·투약 전자장치 나온다
[기초과학硏 나노입자연구단 김대형 교수팀 첫 개발]- 패치에 감지 센서. 환자 근육 상태가 비정상땐 약물 나와 피부로 스며들게- 김대형 교수는 2011년 MIT가 뽑은 '세상을 바..
작성일
2014-04-01
5
[2014.03.25] 신약 후보물질 검증 빠르게…IBS, 바이오 분석칩 개발
신약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기초과학연구원(IBS)은 나노입자 연구단(단장 현택환)이 다양한 신약 후보 물질에 대한 반응검증과 결과..
작성일
2014-03-27
4
[2013.05.24] 흑연 대신 산화물 활용 리튬이온전지 용량 3배 향상 기술 개발
현택환 IBS 단장 연구진…고성능 배터리 개발 길 열어속이 빈 구조를 지닌 리튬이온전지의 용량을 기존보다 3배 늘리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응용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작성일
2013-05-25
3
[2013.04.30] 현택환 기초과학硏 나노입자연구단장 "100만분의 1㎜ 입자로 초기 암세포 찾아"
매년 100억 지원 받아 한국 10년 먹여살릴 기초과학 연구 주도1970년대 경북 달성군 하빈면에서 초등학교를 다니던 소년은 30년 후 한국을 대표하는 과학자가 됐다. 군에서 주최..
작성일
2013-05-01
2
[2013.02.18] 현택환 교수팀, 무독성 나노입자 활용 고해상 광학 영상기술 개발
IBS 나노입자 연구단 현택환 단장은 무독성 반도체 나노입자를 활용한 고해상 삼광자(三光子)-인광 생체 광학영상 구현에 성공했다고 밝혔다.동 연구성과는 기존 발광영상보다 높은 해상..
작성일
2013-02-20
1
[2013.02.06] IBS 나노입자연구단 현택환 단장, 미국재료학회 석학회원에 선정
IBS(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연구단 현택환 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중견석좌교수)이 재료과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 학회인 미국재료학회(Materials Research..
작성일
2013-02-10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