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

News

'나노 + 줄기세포' 기술 결합 류머티즘 완치 가능성 확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1-02 00:00

본문

'나노 줄기세포기술 결합 류머티즘 완치 가능성 확인

 

 

현택환연구팀 치료후보물질 개발

2da489cbc91ee329adceeaaba6ca1f42_1730782211_2247.png
 

 

국내 연구팀이 류머티즘성 관절염을 유발하는 여러 원인을 동시에 없앨 수 있는 치료후보물질을 개발했다나노 입자와 차세대 줄기세포 기술을 활용한 이 물질은 동물실험에서 치료 효과가 확인됐다추후 류머티즘성 관절염 완치제가 등장할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도 나온다.

 

26일 기초과학연구원(IBS)은 현택환 나노입자연구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석좌교수·사진)과 김병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정영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이 이 같은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온라인으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치료제는 류머티즘성 관절염의 발생 원인을 동시에 해결한다이 치료제는 '세리아나노 입자와 차세대 줄기세포 기술인 '나노 베시클'을 결합한 것이다세리아 나노 입자는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염증을 완화해 선천면역을 정상화한다나노 베시클은 줄기세포에서 추출한 것으로 '조절 T세포발현을 촉진해 관절을 보호하고 후천면역을 조절한다조절 T세포는 면역계가 정상세포까지 공격하는 자가면역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연구팀은 개발한 치료제로 동물실험을 진행했다실험 쥐에게 관절염을 유발하고병을 앓은 지 20일 후 치료제를 주입했다그랬더니 발 두께와 온도행동 증상이 완화되고 관절이 회복되는 효과가 일주일 내로 나타났다현 단장은 "질병이 완전히 유발되지 않는 초기 단계에 치료제를 사용하면 관절염 예방 효과도 있다며 근본적으로 류머티즘성 관절염 치료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밝혔다.